목록곧추석 (3)
재리와 주 그리고 연

* 네이버, 플레이스 영상 리뷰 강화네이버가 영상 리뷰 활성화를 위해 'MY플레이스 클립' 기능을 도입했다. 이용자는 클립 에디터를 활용해 기존 동영상 리뷰보다 한층 시선을 사로잡는 영상 리뷰를 남길 수 있다. 플레이스용 클립 에디터는 네이버앱에서 우선 지원되며, 추후 네이버 지도 앱에서도 지원할 예정이다. * 공정위, 쿠팡 멤버십 끼워팔기 혐의 조사 착수공정위가 쿠팡의 와우 멤버십 운영 방식이 공정거래법 위반 '끼워팔기'에 해당하는지 조사 중이다. 조사는 참여연대의 신고로 시작됐다. 쿠팡이 와우 멤버십 가격을 58%가량 인상하면서 쿠팡플레이와 쿠팡이츠 알뜰 배달 서비스를 끼워팔았다는 주장이다. 혐의가 확인될 경우 제재 조치가 예상된다. * 티메프, 회생 절차 개시법원이 정산 지연 사태를 일으킨 티몬과 ..

* 네이버, 위치 검색 5년간 약 30% 증가네이버의 위치 관련 검색량이 5년간 약 30% 증가했다. 소비자들이 네이버를 활용해 생활 밀착형 맞춤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장소 검색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보고 AI 기술을 활용해 장소 검색 품질을 향상하며, 사용자 맞춤형 추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 카카오 규제에 텔레그램 이용자 급증카카오의 '투자 리딩방' 봉쇄 조치로 텔레그램 이용자 수가 지난달 크게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카오의 자정 활동으로 반사이익을 본 텔레그램은 사회적 지탄 속에서도 앱 신규 설치 건수가 전월 대비 40% 이상 급증했다. * 구글코리아, 조세 회피 논란구글코리아의 지난해 법인세는 155억 원이었지만, 추정 매출 12조 원 기준으로는 5180억 ..

* 유튜브 쇼츠, MAU 20억 명 돌파 유튜브의 숏폼 콘텐츠 쇼츠의 MAU가 20억 명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구글의 월간 이용자수(15억 명)보다 25% 증가한 수치다. 유튜브 쇼츠와 틱톡, 인스타그램의 릴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틱톡은 지난해 MAU 16억 명을 기록했다. * 카카오톡 채널홈 개편 카카오는 카카오톡 채널홈을 개편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 중인 사업 파트너들은 예약과 구독, 배달, 티켓 예매 등 목적에 따른 디자인·기능 템플릿을 활용해 채널홈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기존 보유한 웹사이트를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 유튜브, 생성형 AI 기능 도입 유튜브는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만들고 편집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 기반 기능들을 공개했다. 유튜브는 먼저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