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제리 (273)
재리와 주 그리고 연

* 틱톡코리아, 정리해고 나섰다헤럴드경제에 따르면, 틱톡코리아가 설립 이래 처음으로 정리해고에 나섰다. 틱톡코리아는 현재 채용을 진행 중인 동시에 내부 정리해고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운영, 마케팅 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정리해고에 들어갔다.* EU, 애플 이어 MS도 규제EU는 마이크로소프트가 MS365에 팀즈를 끼워파는 관행이 디지털시장법 위반이라고 잠정 결론 내렸다. MS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때 팀즈 사용권을 빼고 구매할 수 있는 선택지를 두지 않음으로써 화상회의 앱 시장의 경쟁을 저해했다고 판단했다. *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 튜비, MAU 8천만스트리밍 서비스 업계에서 구독료 인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 '튜비(Tubi)'가 월간 활성 사용자 수 8천만 명에 달하며 인기를 끌..

* 유통업계, 옐로우 마케팅으로 MZ 공략최근 유통업계는 노란색을 활용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밝고 당찬 이미지를 선호하는 MZ세대가 소비의 중심축으로 떠오르면서,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는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구글플레이, 가짜 앱 기승최근 구글플레이에서 가짜 채팅앱과 카메라앱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사칭앱은 회원가입과 유료 결제를 유도해 금전적 피해를 입힌다. 이들은 수시로 공식 앱 마켓에 등록과 삭제를 반복하면서 피해 규모를 키우고 있다.* 애플, 디지털시장법 위반 잠정 결론유럽연합은 애플의 앱스토어 운영 방침이 ‘디지털시장법’ 규정을 위반했다는 예비 판정을 내렸다. 개발자들이 대안 구매처 정보를 자유롭게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편의점, 초저가 아이스크림 늘린..

* 생성형AI, 국민 10명당 1명 이상 이용, 일 평균 이용시간 41분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배경율)은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태도, 수용성 등을 폭넓게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2018년부터 시작된 본 조사는 2022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되어 조사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며, 이번 발표 내용은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된 이후 두 번째 조사 결과이다.이번 설문에는 ▲지능정보기술(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서비스(인공지능비서, 로봇어드바이저, 스마트워치, 메타버스 게임 등) 이용 현황, ▲포털·유튜브 등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인식,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이용자 경험 등에 대한 ..

* 20대 취향 저격 나선 네이버네이버가 일부 사용자 대상으로 패션·미용·여행·맛집 검색 시 20대 인기 글을 상단에 노출하는 A/B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테스트는 1주간 진행되며, 사용자 반응을 바탕으로 다른 연령대 인기 블록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11번가 MAU, 3개월 새 100만 증가지난 5월 11번가 MAU가 전월 대비 42만 명 증가한 830만 명을 기록했다. 쿠팡에 이은 업계 내 2위로,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3개월 새 약 100만 명 가까이 늘었다. 특정 카테고리에서 엄선된 제품을 선보이는 버티컬 서비스와 이색 프로모션 등 커머스 본질에 충실한 경쟁력 강화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네이버 브랜드 커넥트, 결제·정산 기능 도입네이버가 '브랜드 커넥트'에 결제·정산 기능을 추가해 ..

* 네이버, 소상공인·창작자용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네이버는 온·오프라인 소상공인 및 창작자를 위한 5가지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1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베타 테스터를 모집한다. 베타 테스트는 다음 달 8일부터 26일까지 3주간 진행한다.* 치지직, 광고 차단 프로그램 등장에 곤욕치지직이 광고 차단 프로그램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무료 배포 중인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치지직의 광고 제거 상품인 치트키를 구매하지 않고도 광고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네이버 측은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 있으나,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편의점, 올해도 초대형 마케팅 경쟁편의점 업계가 초대형 비빔면과 냉면을 잇달아 출시하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초대형 마케팅을 경쟁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지속되..